Javascript

01.Javascript 기초 이론 및 연산을 이용한 할인율 계산

프론트개미 2022. 1. 19. 19:09

Javascript를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배운 기초 이론과 예제 풀이를 기록해보려고 한다.

 

1. Javascript 규칙

①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② 들여 쓰는 습관을 들인다.

③ 세미콜론(;)으로 문장을 구분한다.

④ 메모는 주석으로 처리한다.

     * 주석  : 코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메모나 기록을 작성이 가능한 것.  //  나  /*    */ 로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⑤ 식별자는 정해진 규칙을 지켜 작성한다.

⑥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라는 6가지 기본 규칙들이 있다.

5, 6 번을 제외하고는 html과 css에서 사용했던 점을 경험으로 쉽게 이해가 가능했다.

 

2. 변수 선언 규칙

① 이름은 의미 있게!

② 여러 단어를 연결한 변수 이름은 낙타 모양으로 지어준다.

     * 낙타 모양이란?  ex) lastDay  ,  resultPrice 등 단어가 연결되고 시작하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지어줘서 낙타 등처럼

        굴곡을 줘서 눈에 명확하게 보이도록 지어준다.

③ 세미콜론(;)으로 문장을 구분한다.

 

3. 변수 선언과 값/식 할당

① var 다음 변수 이름을 적어준다.

② 변수 오른쪽에 "=" 기호를 붙이고 오른쪽에 저장할 값이나 식을 작성한다.

     (변수 선언과 값 할당을 동시에 가능)

var age = 10;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값 할당) 시켜준다.

var school;
school = "개미 학교";
// 선언과 값이 분리되어 있다.

4. 배열

배열이란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항상 주의해야 할 점은 대괄호 [ ] 안에 배열의 인덱스(index)를 넣어 사용한다.

var season = ["봄","여름","가을","겨울"]

* 인덱스(index)란?

  : 위 대괄호 안에 있는 값 하나하나를 인덱스라고 지칭하며 이 인덱스들은 0~(n-1)의 숫자로 지정이 가능하다.

 

 

5. 객체

객체란 여러 자료들을 중괄호{ }로 묶은 것 이다.

key 와 value를 한 쌍으로 여러 자료를 저장한다.

var kim = {
fristName:"Ant",
lastNAme:"Kim" 
}

 

6. 산술 연산자

사칙 연산자  더하기 +  
빼기 -  
나누기 /  
곱하기 *  
나머지 연산자 나머지 % ex) 7%3 = 1
증감 연산자 증가 ++ 변수값 1 증가 ex) var a = 10;
               ++a;
                         결과 : a =11
감소 -- 변수값 1 감소 ex) var a = 10;
               --a;
                         결과 : a =9

 

7.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 예시 의미
+= y+=x y=y+x
-= y-=x y=y-x
*= y*=x y=y*x
/= y/=x y=y/x
%= y%=x y=y%x

 

[예제] 연산을 이용한 할인율 계산기 만들기.

* javascript에 대한 기록을 하기에 html과 css에 대한 리뷰는 최대한 하지 않겠습니다.

 

Javascript를 적용할 뼈대의 모습입니다.


할인율 계산기


할인율 계산기를 작동시키려면 원래 가격과 할인율에 value를 입력하고, 할인 가격 계산하기를 누르면 계산이 되는 방식이다.  

 

먼저 할인 가격 계산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javascript가 작동이 되어야 함으로, 

<button onclick="showPrice()">할인 가격 계산하기</button>

html의 <button>에 onclick 했을 시 showPrice라는 함수가 실행이 되도록 설정을 했다.

 

이후 js파일로 

function showPrice(){
   var oPrice = document.querySelector("#originalPrice").value;
   var rate = document.querySelector("#rate").value;
}

<button>에 입력한 showPrice를 만들어 준 다음, 원래 가격 과 할인율에 입력한 값을 변수로 정해줬다.

* 원래 가격 : oPrice    할인율 : rate

 

변수로 정해준 "원래 가격" 에서 "할인율"이 적용된 값을 구하기 위해서

function showPrice(){

    var oPrice = document.querySelector("#originalPrice").value;
    var rate = document.querySelector("#rate").value;

    var savedPrice = oPrice * (rate/100);
    var resultPrice = oPrice - savedPrice;
    
    }

 

원래 가격에서 할인되는 가격을 알려주는 savePrice와 원래 가격에서 할인되는 가격을 빼서 할인율이 적용된 제품의

가격을 나타내는 값으로 recultPrice 라는 변수를 지정해줬다.

 

이제 계산된 값은 모두 다 구해졌고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function showPrice(){

    var oPrice = document.querySelector("#originalPrice").value;
    var rate = document.querySelector("#rate").value;

    
    var savedPrice = oPrice * (rate/100);
    var resultPrice = oPrice - savedPrice;

    document.querySelector("#showResult").innerHTML = resultPrice 
    + "원 입니다";
}

document.querySelector( ).innerHTML = ; 을 사용하여 할인율이 적용된 제품가격이 보이도록 적용을 시켰다.

 

이 스크립트를 적용한 결과물로


할인율 계산기 작동 모습


라는 할인율 계산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예제를 풀면서 입력과 버튼을 누르는 행동을 순서로 논리적인 함수를 만드는 것이 처음이라 과정에 대한 고민을 반복하였고, 그에 맞는 변수들을 만들고 그 변수들을 이용하여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함수를 만드는 것이 오늘 기록한 내용이라고 생각이 든다.